IT/NAS

[Xpenology] NAS에 UPS 활성화

4wd 2024. 5. 30. 00:36
반응형

 

 

1. 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무정전 전원장치)

 

간단히 말하면 휴대폰 보조 배터리와 같은 역할입니다.

 

미리 충전 후 필요한 경우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전기 사용량이 많아지는 여름에는 정전이 일어날 수 있고

 

특히 NAS 같은 경우 정전으로 인하여 RAID 구성이 풀리거나 배드섹터가 발생하는 불상사가..

 

저렴한 가격으로 정전에 대한 보험을 하나 든다고 생각하면 됩니댜.

 

 

 

 

 

2. NAS - UPS 설정

 

UPS의 Data PortNAS의 USB Port를 연결해 주면 

 

Local UPS was plugged in.란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NAS 제어판으로 이동하여 하드웨어 및 전원 메뉴로 진입합니다.

 

 

 

UPS 항목

 

UPS 지원 활성화 체크

UPS 유형 - USB UPS

대기 모드로 전환 - 사용자 편의에 맞게 변경

 

 

 

장치 정보

 

본인이 설치한 UPS 모델과 충전량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사용 후기

 

중요 자료는 2차 3차 백업을 해 놓은 상태라 NAS를 UPS 없이

 

1년가량을 사용하면서 불편/불안한 적은 한 번도 없었고

 

정전 또한 몇 번 겪었지만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물론 전에는 RAID 구성을 안 한 단일 스토리지로 사용하였습니다.

 

 

 

허나 와이프님께서 방청소 한다고 전원 코드를 뽑고 나서

 

HDD 2개가 순차 적으로 배드섹터 발생 이후 사망..

 

RAID로 묶어서 사용하다 보니 문제가 발생되었다 판단하고

 

당근에서 중고로 UPS 하나 구매

 

연식이 있는 놈이다 보니 배터리가 상태가 좋지 못해

 

정전 발생 시 5분 정도 버티는 것을 확인

 

NAS 종료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이라 그냥 맘 편히 사용하는 중입니다.

 

나스에서 레이드 구성을 사용하시면 UPS는 설치하는 것이 심적으로 편안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