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NAS

[Xpenology] 외부 접속 포트 포워딩

4wd 2023. 8. 5. 02:26
반응형

 

포트포워딩(port forwarding)이란 단순하게 설명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외부에서 접속을 시도할 경우 특정 위치로 연결시켜 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집에 PC, NAS, 노트북 등등 각각 IP가 있지만 외부 IP는 하나이고

 

라우터에 포트를 열어주... 흠..

 

더 단순하게 그냥 외부 IP를 통해 접속할 경우 특정 IP로 연결해 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에 설명했던 DDNS 작업

 

 

[DUCKDNS] 외부 접속 DNS 설정

헤놀로지는 시놀로지에서 지원하는 DN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IPtime 등 공유기에서 지원하는 DNS를 이용하지만 도메인 서버를 지원하는 공유기가 아닐 경우 또는 따로 공유기

x486.tistory.com

 

 

Duckdns 설정 이후에 내부 망에서는 NAS 접속이 가능하나 외부 망에서는 접속이 안될 경우

 

대부분 포트 포워딩을 안 한 경우 이고, 이는 외부에서 아무나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속할 경우 길을 열어주는 작업입니다.

 

 

 

1. NAS에 접속하여 NAS의 IP를 확인합니다.

 

제어판 > 정보 센터  > 네트워크 탭

 

 

 

2. NAS에 접속하여 외부 IP 설정을 확인합니다.

   

*호스트 이름은 DuckDns에서 생성한 것, 외부 IP는 본인 확인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DDNS 탭

 

 

3. NAS에 접속하여 포트를 지정합니다.

 

*기본 포트는 HTTP - 5000, HTTPS - 5001이지만 해킹의 위험이 있으니 꼭 변경하세요.

 

제어판 > 로그인 포털 > DSM

 

 

 

4. 인터넷 주소창에 주소 입력 후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공유기 제조사 관리자 설정 페이지

 

공유기 제조사 관리자 설정 페이지

공유기 제조사 관리자 페이지 주소 아이디 / 비밀번호 IPTIME 192.168.0.1 admin / admin 또는 없음 QookHub 172.30.1.254 ktuser / megaap HomeHub 172.30.1.254:8899 ktroot / nespot GiGA wifi home 172.30.1.254:8899 ktruser / homehub or mega

x486.tistory.com

 

5. DMZ(DeMilitarized Zone) 서버 설정

 

 

DMZ IP 주소는 NAS IP 주소 입력 해주면 됩니다.

 

그럼 인터넷 모뎀이 재부팅되고 이후 접속이 가능합니다.

반응형